기점소악도 순례자의길

백섬백길

49

12km

열두 개의 기도처를 따라 걷는 순례자의 길

기점소악도 순례자의길

백섬백길

49

전라남도 신안군 증도면 병풍리

코스 소개

기점소악도 순례자의 길은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진섬을 따라 베드로의 집에서부터 가롯 유다의 집까지 12곳의 기도처들을 순례하는 길이다. 기도처마다 일련번호가 매겨져 있어 차례로 순례할 수 있다. 12km를 걷는 순례자의 길은 묵상의 길이자, 오롯이 자기를 만나는 길이다.

코스세부정보

베드로의 집(대기점도항)( 0 km) 안드레이의 집( 1 km) 야고보의 집( 0.7 km) 요한의 집( 1.7 km) 필립의 집( 1.1 km) 바르톨로메오의 집( 0.6 km) 토마스의 집( 1.8 km) 마태오의 집( 0.5 km) 작은 야고보의 집( 1.6 km) 유다 다태오의 집( 0.5 km) 시몬의 집( 0.7 km) 가롯 유다의 집( 0.4 km) 시몬의 집( 0.4 km) 소악도항( 1 km)

교통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기점소악도는 하나의 섬이 아니다. 대기점도,소기점도,소악도,진섬,딴섬 5개를 묶어서 이르는 말이다. 딴섬을 제외하고 4개의 섬은 노둣길로 연결돼 있다. 단, 하루에 두 번, 바닷길이 열려야 온전히 연결이 된다. 물이 들면 노둣길이 물 속에 잠겨 걸어서 섬을 건널 수 없다. 

신안 갯벌에는 노둣길이 놓인 섬들이 있다. 바닷물이 있을 때는 섬과 섬 사이를 배로 오갈 수 있지만 바닷물이 사라지고 갯벌이 드러나면 섬들끼리 오갈 수 없었다. 그래서 썰물 때면 섬과 섬 사이를 걸어서 건널 수 있도록 갯벌에 넓적한 징검돌을 놓아 길을 만들었다. 이 징검다리를 ‘노두’라 한다. 노둣길은 이끼가 끼고 세찬 조류에 조금씩 움직이기도 하는 까닭에 해마다 한 번씩 모든 섬사람들이 나와서 돌을 뒤집어주며 이끼도 제거해주고 길을 정비해야 했다. 그 노고가 말할 수 없이 컸다. 그래서 근래에는 섬들 사이에 있던 노둣길을 대부분 시멘트 포장해서 수고로움도 줄이고 자동차도 오갈 수 있게 만들었다. 섬사람들은 이 새로운 길들도 노둣길이라 부른다. 신안의 섬 병풍도와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진섬, 이들 5개의 섬들은 노둣길로 연결되어 하나의 생활권을 이룬다.

최근 이 노둣길에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오로지 노둣길을 걷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머나먼 섬을 찾아온다. 노둣길을 따라 <순례자의 길>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무슨 새로운 길이 다시 깔린 것은 아니고 노둣길 중간중간에 12개의 기도처가 새로 건축되고 이 길에 <순례자의 길>이란 이름이 부여된 것이다. <순례자의 길>은 병풍도는 빠지고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진섬, 딴섬 5개의 섬 12km 구간에만 만들어졌다. 


<순례자의 길>은 예수의 열두 제자 이름을 기도처의 이름으로 차용했지만 특정 종교인들만을 위한 기도처가 아니다. 기도처는 예배당일 수도, 성당일 수도, 암자일 수도 있다. 그래서 기도처의 지붕에는 십자가 대신 고양이라든가, 물고기라든가, 새들이 올라 앉아 있다. 열린 기도처의 상징이다. 


12개의 기도처는 11명의 국내외 작가들이 참가해서 만들었다. 기도처는 첫 번째인 대기점도 선착장, 베드로의 집에서부터 일련번호가 매겨져 차례로 순례할 수 있도록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2번째는 안드레아의 집, 3번째는 야고보의 집, 4번째는 요한의 집, 5번째는 필립의 집, 6번째는 바르톨로메오의 집, 7번째는 토마스의 집, 8번째는 마태오의 집, 9번째는 작은 야고보의 집, 10번째는 유다 타대오의 집, 11번째는 시몬의 집, 12번째는 가롯 유다의 집이다. 기도처들은 대부분 두 평을 넘지 않는 작은 공간이다. 작고 소박한 기도처들은 그 자체로 이미 신선한 감동이다. 기도처 12곳 중 절반이 주민들이 기부한 땅에 지어졌다.


대기점도 선착장 끝에 서 있는 1번 기도처인 베드로의 집 옆에는 작은 종이 있다. 이 종을 치면서 순례를 시작한다. 마지막 12번째 기도처인 가롯 유다의 집에도 종이 있다. 그 종을 치면 순례가 끝난다.


기점·소악도 일대 갯벌은 습지보호구역이자 람사르 습지이고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이기도 하다. 갯벌이 좋으니 예전에는 이 바다가 황금어장이었다. 조기, 부세, 준치, 병어 등을 잡아 가마니로 져   날랐을 정도였다 한다. 생선들은 간독에 절인 뒤 말려서 육지로 팔아 소득을 올렸다. 이런 호시절도 다 지나간 옛일이 됐다. 더 이상 잡는 어업이 소득이 되지 않으니 주민들 일부는 김양식과 새우양식 등 기르는 어업으로 살아간다. 그 외 섬 주민 대부분은 바다보다는 농사에 의지해 살아간다.

기점소악도 순례자의길

백섬백길

49

12km

열두 개의 기도처를 따라 걷는 순례자의 길

코스 소개

기점소악도 순례자의 길은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진섬을 따라 베드로의 집에서부터 가롯 유다의 집까지 12곳의 기도처들을 순례하는 길이다. 기도처마다 일련번호가 매겨져 있어 차례로 순례할 수 있다. 12km를 걷는 순례자의 길은 묵상의 길이자, 오롯이 자기를 만나는 길이다.

코스세부정보

베드로의 집(대기점도항)( 0 km) 안드레이의 집( 1 km) 야고보의 집( 0.7 km) 요한의 집( 1.7 km) 필립의 집( 1.1 km) 바르톨로메오의 집( 0.6 km) 토마스의 집( 1.8 km) 마태오의 집( 0.5 km) 작은 야고보의 집( 1.6 km) 유다 다태오의 집( 0.5 km) 시몬의 집( 0.7 km) 가롯 유다의 집( 0.4 km) 시몬의 집( 0.4 km) 소악도항( 1 km)

교통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기점소악도는 하나의 섬이 아니다. 대기점도,소기점도,소악도,진섬,딴섬 5개를 묶어서 이르는 말이다. 딴섬을 제외하고 4개의 섬은 노둣길로 연결돼 있다. 단, 하루에 두 번, 바닷길이 열려야 온전히 연결이 된다. 물이 들면 노둣길이 물 속에 잠겨 걸어서 섬을 건널 수 없다. 

신안 갯벌에는 노둣길이 놓인 섬들이 있다. 바닷물이 있을 때는 섬과 섬 사이를 배로 오갈 수 있지만 바닷물이 사라지고 갯벌이 드러나면 섬들끼리 오갈 수 없었다. 그래서 썰물 때면 섬과 섬 사이를 걸어서 건널 수 있도록 갯벌에 넓적한 징검돌을 놓아 길을 만들었다. 이 징검다리를 ‘노두’라 한다. 노둣길은 이끼가 끼고 세찬 조류에 조금씩 움직이기도 하는 까닭에 해마다 한 번씩 모든 섬사람들이 나와서 돌을 뒤집어주며 이끼도 제거해주고 길을 정비해야 했다. 그 노고가 말할 수 없이 컸다. 그래서 근래에는 섬들 사이에 있던 노둣길을 대부분 시멘트 포장해서 수고로움도 줄이고 자동차도 오갈 수 있게 만들었다. 섬사람들은 이 새로운 길들도 노둣길이라 부른다. 신안의 섬 병풍도와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진섬, 이들 5개의 섬들은 노둣길로 연결되어 하나의 생활권을 이룬다.

최근 이 노둣길에 기적 같은 일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오로지 노둣길을 걷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머나먼 섬을 찾아온다. 노둣길을 따라 <순례자의 길>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무슨 새로운 길이 다시 깔린 것은 아니고 노둣길 중간중간에 12개의 기도처가 새로 건축되고 이 길에 <순례자의 길>이란 이름이 부여된 것이다. <순례자의 길>은 병풍도는 빠지고 대기점도, 소기점도, 소악도, 진섬, 딴섬 5개의 섬 12km 구간에만 만들어졌다. 


<순례자의 길>은 예수의 열두 제자 이름을 기도처의 이름으로 차용했지만 특정 종교인들만을 위한 기도처가 아니다. 기도처는 예배당일 수도, 성당일 수도, 암자일 수도 있다. 그래서 기도처의 지붕에는 십자가 대신 고양이라든가, 물고기라든가, 새들이 올라 앉아 있다. 열린 기도처의 상징이다. 


12개의 기도처는 11명의 국내외 작가들이 참가해서 만들었다. 기도처는 첫 번째인 대기점도 선착장, 베드로의 집에서부터 일련번호가 매겨져 차례로 순례할 수 있도록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다. 2번째는 안드레아의 집, 3번째는 야고보의 집, 4번째는 요한의 집, 5번째는 필립의 집, 6번째는 바르톨로메오의 집, 7번째는 토마스의 집, 8번째는 마태오의 집, 9번째는 작은 야고보의 집, 10번째는 유다 타대오의 집, 11번째는 시몬의 집, 12번째는 가롯 유다의 집이다. 기도처들은 대부분 두 평을 넘지 않는 작은 공간이다. 작고 소박한 기도처들은 그 자체로 이미 신선한 감동이다. 기도처 12곳 중 절반이 주민들이 기부한 땅에 지어졌다.


대기점도 선착장 끝에 서 있는 1번 기도처인 베드로의 집 옆에는 작은 종이 있다. 이 종을 치면서 순례를 시작한다. 마지막 12번째 기도처인 가롯 유다의 집에도 종이 있다. 그 종을 치면 순례가 끝난다.


기점·소악도 일대 갯벌은 습지보호구역이자 람사르 습지이고 유네스코 생물권보존지역이기도 하다. 갯벌이 좋으니 예전에는 이 바다가 황금어장이었다. 조기, 부세, 준치, 병어 등을 잡아 가마니로 져   날랐을 정도였다 한다. 생선들은 간독에 절인 뒤 말려서 육지로 팔아 소득을 올렸다. 이런 호시절도 다 지나간 옛일이 됐다. 더 이상 잡는 어업이 소득이 되지 않으니 주민들 일부는 김양식과 새우양식 등 기르는 어업으로 살아간다. 그 외 섬 주민 대부분은 바다보다는 농사에 의지해 살아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