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도 꼬막길

백섬백길

28

10.2km

대한민국 꼬막의 본 고장. 뻘배를 타고 갯벌을 누비는 어머니들의 섬

장도 꼬막길

백섬백길

28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장도리

코스 소개

장도 꼬막길은 숲과 바다를 따라 걸으면서 장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갯벌을 감상할 수 있는 길로 약 4시간 정도 소요된다. 섬이 평탄하여 걷기에 부담이 없고 들쑥날쑥한 리아스식 해안은 걷는 재미가 쏠쏠하다. 길은 신경마을, 대촌마을, 새터마을, 부수마을까지 총 4개의 마을을 거쳐가는데, 가는 곳마다 섬마을 사람들의 정이 가득하다.

코스세부정보

신경항( 0 km) 쌍둥이 우물( 0.6 km) 가느바구( 1 km) 대촌마을( 1 km) 새터마을( 0.9 km) 배금백사장( 1.5 km) 부수마을 입구( 1.3 km) 부수선착장( 0.8 km) 하방금 전망대( 0.9 km) 북두름산( 0.8 km) 부수마을( 1.4 km)

교통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벌교 꼬막의 80% 이상이 장도 인근 갯벌에서 생산된다. 벌교 꼬막 중에서도 으뜸으로 치는 참꼬막은 거의 전량 장도 갯벌에서 나온다. 그래서 장도는 꼬막섬이다. 가을부터 봄까지 꼬막 철이면 장도 갯벌에서는 뻘배를 타고 갯벌을 종횡무진 누비며 꼬막을 캐는 여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뻘배는 판자로 만든 갯벌의 썰매 같은 것이다. 꼬막으로 생계를 꾸렸고, 아이들을 학교에 보냈다.

장도 갯벌의 또 다른 선물은 석화다. 굴은 익히는 순간 퍽퍽해져 맛이 덜하지만, 장도의 피굴은 그렇지 않다. 다른 익힌 굴과 달리 피굴은 반숙 상태라 굴속의 진액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찰지고 쫄깃하다. 차게 해서 먹는 피굴의 국물은 최고의 해장국이다. 생굴을 탐식하지만 탈날까 꺼려지고, 그렇다고 익힌 굴 요리도 싫은 이들에게 추천할 만한 최고의 요리다.


장도 안의 섬인 목섬에는 소 무덤이 있다. 팔순의 노인과 20여년을 동고동락해온 일소의 무덤이다. 목섬에서 노인은 소와 함께 밭을 일구어 마늘과 고구마, 땅콩 농사를 지어왔다. 목섬에는 경운기가 들어가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암소였던 일소는 죽을 때까지 20마리나 되는 송아지까지 낳아줬다. 노인은 늙어 더이상 밭을 갈 수 없게 된 소를 끝내 팔지 않았고, 소가 죽을 때까지 함께 했다. 


장도는 1914년에 고흥군 소속섬이었다가,1983년에 보성군 벌교읍에 편입돼 지금에 이른다. . 벌교읍에서 동남쪽으로 6.4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멀리서 보이는 섬의 모습이 노루를 닮았다 하여 노루 장(獐)을 써 장도(獐島)라고 불린다. 섬의 면적은 2.24㎢이고, 해안선 길이는 15.9㎞에 달한다.


장도에는 가장 큰 마을이라 하여 대촌(大村)이라는 이름을 가진 대촌마을과, 그 형상이 연꽃이 물 위에 떠 있다 하여 부수(浮水)라는 이름을 가진 부수 마을이 있다. 그 외 신경마을,신기마을,개거리가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종 때 일본에서 바친 코끼리를 장도로 유배보냈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 때문에 한 때 장도는 코끼리 유배섬으로 알려졌다. 영화 <천문>에도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데,   코끼리를 유배 보낸 섬은 보성 장도가 아니라, 당시 순천부에 속한 여수의 장도다. ‘장도’라는 이름을 지닌 섬이 여럿이다 보니 생긴 해프닝이다.

장도 꼬막길

백섬백길

28

10.2km

대한민국 꼬막의 본 고장. 뻘배를 타고 갯벌을 누비는 어머니들의 섬

코스 소개

장도 꼬막길은 숲과 바다를 따라 걸으면서 장도의 아름다운 자연과 갯벌을 감상할 수 있는 길로 약 4시간 정도 소요된다. 섬이 평탄하여 걷기에 부담이 없고 들쑥날쑥한 리아스식 해안은 걷는 재미가 쏠쏠하다. 길은 신경마을, 대촌마을, 새터마을, 부수마을까지 총 4개의 마을을 거쳐가는데, 가는 곳마다 섬마을 사람들의 정이 가득하다.

코스세부정보

신경항( 0 km) 쌍둥이 우물( 0.6 km) 가느바구( 1 km) 대촌마을( 1 km) 새터마을( 0.9 km) 배금백사장( 1.5 km) 부수마을 입구( 1.3 km) 부수선착장( 0.8 km) 하방금 전망대( 0.9 km) 북두름산( 0.8 km) 부수마을( 1.4 km)

교통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벌교 꼬막의 80% 이상이 장도 인근 갯벌에서 생산된다. 벌교 꼬막 중에서도 으뜸으로 치는 참꼬막은 거의 전량 장도 갯벌에서 나온다. 그래서 장도는 꼬막섬이다. 가을부터 봄까지 꼬막 철이면 장도 갯벌에서는 뻘배를 타고 갯벌을 종횡무진 누비며 꼬막을 캐는 여인들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뻘배는 판자로 만든 갯벌의 썰매 같은 것이다. 꼬막으로 생계를 꾸렸고, 아이들을 학교에 보냈다.

장도 갯벌의 또 다른 선물은 석화다. 굴은 익히는 순간 퍽퍽해져 맛이 덜하지만, 장도의 피굴은 그렇지 않다. 다른 익힌 굴과 달리 피굴은 반숙 상태라 굴속의 진액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 찰지고 쫄깃하다. 차게 해서 먹는 피굴의 국물은 최고의 해장국이다. 생굴을 탐식하지만 탈날까 꺼려지고, 그렇다고 익힌 굴 요리도 싫은 이들에게 추천할 만한 최고의 요리다.


장도 안의 섬인 목섬에는 소 무덤이 있다. 팔순의 노인과 20여년을 동고동락해온 일소의 무덤이다. 목섬에서 노인은 소와 함께 밭을 일구어 마늘과 고구마, 땅콩 농사를 지어왔다. 목섬에는 경운기가 들어가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암소였던 일소는 죽을 때까지 20마리나 되는 송아지까지 낳아줬다. 노인은 늙어 더이상 밭을 갈 수 없게 된 소를 끝내 팔지 않았고, 소가 죽을 때까지 함께 했다. 


장도는 1914년에 고흥군 소속섬이었다가,1983년에 보성군 벌교읍에 편입돼 지금에 이른다. . 벌교읍에서 동남쪽으로 6.4km 정도 떨어져 있는데, 멀리서 보이는 섬의 모습이 노루를 닮았다 하여 노루 장(獐)을 써 장도(獐島)라고 불린다. 섬의 면적은 2.24㎢이고, 해안선 길이는 15.9㎞에 달한다.


장도에는 가장 큰 마을이라 하여 대촌(大村)이라는 이름을 가진 대촌마을과, 그 형상이 연꽃이 물 위에 떠 있다 하여 부수(浮水)라는 이름을 가진 부수 마을이 있다. 그 외 신경마을,신기마을,개거리가 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태종 때 일본에서 바친 코끼리를 장도로 유배보냈다는 기록이 전한다. 이 때문에 한 때 장도는 코끼리 유배섬으로 알려졌다. 영화 <천문>에도 이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다. 그런데,   코끼리를 유배 보낸 섬은 보성 장도가 아니라, 당시 순천부에 속한 여수의 장도다. ‘장도’라는 이름을 지닌 섬이 여럿이다 보니 생긴 해프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