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죽도 둘레길

백섬백길

24

4.4km

“독 보듬고 돈디”, “손잡고 돈디”, “처녀 베 짠디”, “지지미”, “날나리”지나 화전놀이 하러 가는 섬

손죽도 둘레길

백섬백길

24

전라남도 여수시 삼산면 손죽리

코스 소개

손죽도 둘레길은 손죽도항에서 시작해서 봉화산, 깃대봉을 거쳐 삼각산까지 이어지는 능선길이 주 노선이다. 능선을 따라 동서남북으로 옮겨가며 어디하나 막힌 데 없는 파노라마 경관을 연출한다. 손죽도 마을길 투어도 재밌다. 손죽도는 집집마다 조그만 정원이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허름한 집일망정 나무와 꽃을 가꾼다. 골목 쌈지 공간과 지지미재로 가는 길가에도 꽃천지다.

코스세부정보

손죽도항( 0 km) 육각정자( 1.1 km) 봉화산 삼거리( 0.6 km) 지지미재( 1 km) 손죽마을( 1 km) 손죽도 마을펜션( 0.1 km) 손죽도항( 0.2 km)

교통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손죽도는 이대원 장군(1566-1587)과 떼어놓을 수 없다. 사당을 지어놓고 섬의 수호신으로 모신다.  이대원(李大源) 장군은 평택에서 태어나 18살에 무과에 급제했다. 1586년 21살 약관의 나이에 흥양(고흥)의 녹도만호(종4품)가 됐다. 녹도는 지금의 녹동이다. 1587년 2월 녹도 앞바다에 왜구가 출몰하자 전함을 이끌고 출전해 왜구들을 섬멸했다. 장군은 이 전투에서 적장을 생포해 전라좌수사 심암에게 넘겼다. 수사는 장군의 공을 자신의 것으로 하자 했으나 장군은 이를 거절했다. 왜구 토벌의 공을 가로채 출세하려다 실패한 수사는 장군에게 깊은 원한을 품었다. 2월 17일, 대규모 왜구들이 다시 손죽도를 침략했다. 수사는 수적 열세를 알고도 단지 100여 명의 병사만을 내주며 장군의 출병을 재촉했다. 장군은 이미 날이 저물고 군사도 적은데 덮어놓고 출정하는 것은 무모하니 내일 아침 날이 밝으면 군사를 더 모아 출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 간언했다. 하지만 좌수사는 장군을 강제로 출병시켰다. 장군을 사지로 몰아넣으려 작정한 행위였다. 

장군은 출병하며 수사가 군사를 이끌고 뒤따라와 줄 것을 부탁했다. 하지만 수사는 출병하지 않았고 장군과 병사들은 3일 밤낮을 격렬히 싸웠으나 중과부적이었다. 다시 병력 지원을 요청했으나 끝내 좌수사는 지원병을 보내지 않았다. 결국 장군은 혈서로 <절명시>를 쓴 뒤 왜구에게 사로잡혔다. 왜구는 장군의 항복을 받아내려 했으나 거절당하자 돛대에 매달아 찔러 죽였다. 약관 21세의 청년 장수가 질투에 눈이 먼 직속상관의 계략에 희생된 것이다.


장군의 억울한 죽음은 덮어질 뻔했으나 전투에서 살아남은 장군의 부하 손대남이 살아 돌아가 진상이 밝혀졌다. 1587년 선조는 전라좌수사 심암을 참수하라는 어명을 내렸고 심암은 한양으로 압송돼 당고개에서 참수됐다. 사건의 전말은 송강 정철의 아들 화곡 정기명이 지은 <녹도가>를 통해 전해진다. 그후 손죽도 사람들은 오랜 세월 이대원 장군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매년 제사를 지내왔다.


섬이름도 애초에 이대원이라는 인물을 잃어 큰 손해를 보았다하여 손대도(損大島)로 불렀다는 설도 있다. 어찌됐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돌산군에서 여수군으로 편입하면서 손죽도로 하였다. 


손죽도는 여수 최남단의 섬 거문도로 가는 길목에 있다. 이 때문에 거문도행 쾌속선의 기착지이기도 하다. 손죽도는 단일 마을로 구성돼 있으며, 집집마다 정원이 아름답게 가꿔져있다. 아무리 허름한 집일망정 나무나 꽃을 가꾼다. 어떤 집은 ‘세월도 쉬어가고 나도 쉬어 가는 섬마을 우리집’이란 예쁜 문패를 달기도 했다.


손죽도는 언어의 보고다. ‘독 보듬고 돈디’는 암벽 해안에서 돌을 보듬고 돌아야만 지날 수 있는 험한 곳의 지명이고, ‘손잡고 돈디’는 비탈진 암벽에서 누군가 손을 잡아 주어야만 건널 수 있는 곳이다. ‘처녀 배 짠디’는 처녀들이 모여서 베를 짜던 곳이고, ‘지지미’는 섬사람들이 봄이면 몇날 며칠씩 진달래 화전도 지저 먹고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며 놀던 곳이다. ‘날나리’는 험한 길이 계속되다 걷기 좋은 평지가 나타나자 날아갈 듯 좋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제주년 배 떨어진디’는 물질 왔던 제주해녀가 물질하러 배에서 떨어지던 곳이다. 


지지미재에서 화전놀이를 하며 불렀던 노래도 구전되고 있는데, 섬사람들의 생활사가 그대로 기록되어 있어 흥미롭다.  

“말 못하는 술 담배는 내 속을 아는데 말 잘하는 당신은 내 속을 모르네 
이 아래 갱번에 굴까는 처녀야, 언제나 다 깨고 내 사람이 될래 
남남이 만나서 부부라 치고, 수십년 배싹 없이 내배를 탓네 
신작로 복판에 솥 때운 사람아 정떨어진 것은 때울 수가 없나 
삼각산 몰랑에 비오나 마나, 어린 낭군 품안에 잠자나마나“  (여수 손죽도 화전놀이 노래 중 일부) 

지지미재에서는 진달래꽃을 따다 화전을 부쳐 먹고, 한바탕 노는 전통 화전놀이가 매년 삼월삼짇날 열린다.

손죽도 둘레길

백섬백길

24

4.4km

“독 보듬고 돈디”, “손잡고 돈디”, “처녀 베 짠디”, “지지미”, “날나리”지나 화전놀이 하러 가는 섬

코스 소개

손죽도 둘레길은 손죽도항에서 시작해서 봉화산, 깃대봉을 거쳐 삼각산까지 이어지는 능선길이 주 노선이다. 능선을 따라 동서남북으로 옮겨가며 어디하나 막힌 데 없는 파노라마 경관을 연출한다. 손죽도 마을길 투어도 재밌다. 손죽도는 집집마다 조그만 정원이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허름한 집일망정 나무와 꽃을 가꾼다. 골목 쌈지 공간과 지지미재로 가는 길가에도 꽃천지다.

코스세부정보

손죽도항( 0 km) 육각정자( 1.1 km) 봉화산 삼거리( 0.6 km) 지지미재( 1 km) 손죽마을( 1 km) 손죽도 마을펜션( 0.1 km) 손죽도항( 0.2 km)

교통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손죽도는 이대원 장군(1566-1587)과 떼어놓을 수 없다. 사당을 지어놓고 섬의 수호신으로 모신다.  이대원(李大源) 장군은 평택에서 태어나 18살에 무과에 급제했다. 1586년 21살 약관의 나이에 흥양(고흥)의 녹도만호(종4품)가 됐다. 녹도는 지금의 녹동이다. 1587년 2월 녹도 앞바다에 왜구가 출몰하자 전함을 이끌고 출전해 왜구들을 섬멸했다. 장군은 이 전투에서 적장을 생포해 전라좌수사 심암에게 넘겼다. 수사는 장군의 공을 자신의 것으로 하자 했으나 장군은 이를 거절했다. 왜구 토벌의 공을 가로채 출세하려다 실패한 수사는 장군에게 깊은 원한을 품었다. 2월 17일, 대규모 왜구들이 다시 손죽도를 침략했다. 수사는 수적 열세를 알고도 단지 100여 명의 병사만을 내주며 장군의 출병을 재촉했다. 장군은 이미 날이 저물고 군사도 적은데 덮어놓고 출정하는 것은 무모하니 내일 아침 날이 밝으면 군사를 더 모아 출정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 간언했다. 하지만 좌수사는 장군을 강제로 출병시켰다. 장군을 사지로 몰아넣으려 작정한 행위였다. 

장군은 출병하며 수사가 군사를 이끌고 뒤따라와 줄 것을 부탁했다. 하지만 수사는 출병하지 않았고 장군과 병사들은 3일 밤낮을 격렬히 싸웠으나 중과부적이었다. 다시 병력 지원을 요청했으나 끝내 좌수사는 지원병을 보내지 않았다. 결국 장군은 혈서로 <절명시>를 쓴 뒤 왜구에게 사로잡혔다. 왜구는 장군의 항복을 받아내려 했으나 거절당하자 돛대에 매달아 찔러 죽였다. 약관 21세의 청년 장수가 질투에 눈이 먼 직속상관의 계략에 희생된 것이다.


장군의 억울한 죽음은 덮어질 뻔했으나 전투에서 살아남은 장군의 부하 손대남이 살아 돌아가 진상이 밝혀졌다. 1587년 선조는 전라좌수사 심암을 참수하라는 어명을 내렸고 심암은 한양으로 압송돼 당고개에서 참수됐다. 사건의 전말은 송강 정철의 아들 화곡 정기명이 지은 <녹도가>를 통해 전해진다. 그후 손죽도 사람들은 오랜 세월 이대원 장군을 수호신으로 모시고 매년 제사를 지내왔다.


섬이름도 애초에 이대원이라는 인물을 잃어 큰 손해를 보았다하여 손대도(損大島)로 불렀다는 설도 있다. 어찌됐던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돌산군에서 여수군으로 편입하면서 손죽도로 하였다. 


손죽도는 여수 최남단의 섬 거문도로 가는 길목에 있다. 이 때문에 거문도행 쾌속선의 기착지이기도 하다. 손죽도는 단일 마을로 구성돼 있으며, 집집마다 정원이 아름답게 가꿔져있다. 아무리 허름한 집일망정 나무나 꽃을 가꾼다. 어떤 집은 ‘세월도 쉬어가고 나도 쉬어 가는 섬마을 우리집’이란 예쁜 문패를 달기도 했다.


손죽도는 언어의 보고다. ‘독 보듬고 돈디’는 암벽 해안에서 돌을 보듬고 돌아야만 지날 수 있는 험한 곳의 지명이고, ‘손잡고 돈디’는 비탈진 암벽에서 누군가 손을 잡아 주어야만 건널 수 있는 곳이다. ‘처녀 배 짠디’는 처녀들이 모여서 베를 짜던 곳이고, ‘지지미’는 섬사람들이 봄이면 몇날 며칠씩 진달래 화전도 지저 먹고 노래도 부르고 춤도 추며 놀던 곳이다. ‘날나리’는 험한 길이 계속되다 걷기 좋은 평지가 나타나자 날아갈 듯 좋다 해서 붙여진 이름이고 ‘제주년 배 떨어진디’는 물질 왔던 제주해녀가 물질하러 배에서 떨어지던 곳이다. 


지지미재에서 화전놀이를 하며 불렀던 노래도 구전되고 있는데, 섬사람들의 생활사가 그대로 기록되어 있어 흥미롭다.  

“말 못하는 술 담배는 내 속을 아는데 말 잘하는 당신은 내 속을 모르네 
이 아래 갱번에 굴까는 처녀야, 언제나 다 깨고 내 사람이 될래 
남남이 만나서 부부라 치고, 수십년 배싹 없이 내배를 탓네 
신작로 복판에 솥 때운 사람아 정떨어진 것은 때울 수가 없나 
삼각산 몰랑에 비오나 마나, 어린 낭군 품안에 잠자나마나“  (여수 손죽도 화전놀이 노래 중 일부) 

지지미재에서는 진달래꽃을 따다 화전을 부쳐 먹고, 한바탕 노는 전통 화전놀이가 매년 삼월삼짇날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