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둘레길

백섬백길

18

3.5km

섬 곳곳에 공룡 발자국이 남아 있는 공룡의 섬

사도 둘레길

백섬백길

18

전라남도 여수시 화정면 낭도리

코스 소개

사도는 공룡의 섬이다. 사도 해변은 중생대 공룡의 시대가 남긴 발자국들로 가득하다. 사도는 두 개의 무인도와 연결되어 있다. 중도와 시루섬(증도)이다. 사도 둘레길은 이 길을 따라간다. 4개의 섬을 잇달아 걸으며 공룡 발자국 화석과 온갖 형태의 바위를 감상할 수 있다. 찰랑찰랑 파도 소리를 들으며 물이 빠진 모래톱 위를 걸어 증도로 가는 길은 사도둘레길에서만 맛볼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다.

코스세부정보

사도항( 0 km) 사도해수욕장( 0.4 km) 공룡발자국화석산지( 0.2 km) 양면해수욕장( 0.4 km) 얼굴바위( 0.4 km) 용미암( 0.1 km) 공룡발자국화석산지( 0.9 km) 소나무숲길( 0.3 km) 사도마을( 0.5 km) 사도항( 0.3 km)

교통

1

출발지

도착지

2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사도는 주변의 섬들 사이 바다를 에워싸고 있어 호수 안의 섬 같다. 그래서 옛적에는 사호라 했다. 진도의 관매도 앞바다가 조도로 둘려 쌓여 관매도가 관호라 불렸던 것과 같은 이치로 생긴 이름이다. 사도는 한때 돈섬이라고 불릴 정도로 부유했다. 한 때 인구가 500여명에 달했다. 어로 기술이 주변 어느 섬 보다 발달해 고깃배가 많았다. 그 시절에는 커다란 조기잡이 중선배가 여섯 척이나 있었고 작은 거룻배도 30척이나 됐다. 또 상고선을 부리는 주민들도 많았다. 상고선은 바다에서 조업하는 어선들로부터 생선을 사서 항아리에 소금을 넣고 저린 뒤 여수, 마산 등지로 내다 팔아 큰 이익을 얻었다. 사도의 융성은 어업 덕분이었던 것이다. 이때 번 돈으로 사도 주민들은 근처의 큰 섬 낭도에 8천여 평 산비탈을 구입했다. 그 산비탈을 개간해서 밭곡식을 길러 먹었고 땔감을 베어다 땠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사도는 더 이상 어업을 하지 않게 됐다. 고깃배들이 아주 사라져버렸다. 1959년 9월, 추석날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사라’ 때문이었다. 이때 30여 척의 어선들이 전부 부서져 침몰하고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빼앗겼다. 학교 옆에 있던 오래된 마을 숲도 완전히 사라져버렸다. 이후 많은 주민들이 바다가 무서워 섬을 떠나버렸고 섬은 한적해졌다. 섬에 남은 사람들도 더 이상 어선을 부릴 엄두를 내지 못했다. 트라우마는 섬 전체를 덮쳤다. 오랫동안 섬은 어선 없는 섬이었다. 그렇게 5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섬사람들은 그저 농사를 짓거나 물이 빠지면 갯가에 나가 미역, 톳 같은 해초류를 뜯어다 팔며 생계를 이어갔다. 지금은 조업을 겸하는 낚시 어선이 몇 척 생겼다. 


사도는 공룡의 섬으로 알려져 있다. 사도 해변은 중생대 공룡의 시대가 남긴 발자국들로 가득하다. 사도는 이런 연유로 2002년 1월에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다. 사도 입구 선착장에는 티아노사우루스 공룡 모형 2개가 육지 사람들은 반긴다. 


면적 0.36㎢, 해안선 길이 6,4km에 불과한 작은 섬 사도는 두 개의 무인도와 연결되어 있다. 중도와 시루섬(증도)이다. 사도와 중도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고 중도와 시루섬은 모래톱으로 연결되어 있다. 시루섬은 초입부터 거대한 바위 무더기들이 공룡처럼 무리지어 웅성거리는 듯하다. 시루섬 뒤편 해안 절벽은 장대하다. 놀라울 정도로 거대한 바위들이 해안을 장식하고 있다. 거북바위, 얼굴바위, 고래바위, 온갖 이야기와 전설들을 간직한 바위들. 압도적으로 아름답다.


공룡발자국 화석과 함께 사람들이 사도에 부쩍 관심을 갖게 된 또 하나의 이유는 바닷물이 갈라지는 자연 현상 때문이다. 정월이나 2월, 4·5월 보름 썰물 때면 사도와 인근 섬들 사이에 바닷길이 활짝 열린다. 사도에서는 한해에도 몇 번씩 ‘모세의 기적’ 같은 일이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난다. 특히 가장 넓은 바닷길이 열리는 때는 음력 2월 영등사리다. 이때는 사도 주변의 여러 섬들 7개가 하나로 연결된다. 사도를 중심으로 추도, 중도(간데섬), 장사도, 나끝, 연목, 증도(시루섬)까지 7개의 섬들이 ‘ㄷ자’ 모양으로 이어지는 신비를 연출한다. 물이 빠지면 사람들은 바다 사이로 난 길을 따라가며 갯것들을 주어 담는다.

사도 둘레길

백섬백길

18

3.5km

섬 곳곳에 공룡 발자국이 남아 있는 공룡의 섬

코스 소개

사도는 공룡의 섬이다. 사도 해변은 중생대 공룡의 시대가 남긴 발자국들로 가득하다. 사도는 두 개의 무인도와 연결되어 있다. 중도와 시루섬(증도)이다. 사도 둘레길은 이 길을 따라간다. 4개의 섬을 잇달아 걸으며 공룡 발자국 화석과 온갖 형태의 바위를 감상할 수 있다. 찰랑찰랑 파도 소리를 들으며 물이 빠진 모래톱 위를 걸어 증도로 가는 길은 사도둘레길에서만 맛볼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이다.

코스세부정보

사도항( 0 km) 사도해수욕장( 0.4 km) 공룡발자국화석산지( 0.2 km) 양면해수욕장( 0.4 km) 얼굴바위( 0.4 km) 용미암( 0.1 km) 공룡발자국화석산지( 0.9 km) 소나무숲길( 0.3 km) 사도마을( 0.5 km) 사도항( 0.3 km)

교통

1

출발지

도착지

2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사도는 주변의 섬들 사이 바다를 에워싸고 있어 호수 안의 섬 같다. 그래서 옛적에는 사호라 했다. 진도의 관매도 앞바다가 조도로 둘려 쌓여 관매도가 관호라 불렸던 것과 같은 이치로 생긴 이름이다. 사도는 한때 돈섬이라고 불릴 정도로 부유했다. 한 때 인구가 500여명에 달했다. 어로 기술이 주변 어느 섬 보다 발달해 고깃배가 많았다. 그 시절에는 커다란 조기잡이 중선배가 여섯 척이나 있었고 작은 거룻배도 30척이나 됐다. 또 상고선을 부리는 주민들도 많았다. 상고선은 바다에서 조업하는 어선들로부터 생선을 사서 항아리에 소금을 넣고 저린 뒤 여수, 마산 등지로 내다 팔아 큰 이익을 얻었다. 사도의 융성은 어업 덕분이었던 것이다. 이때 번 돈으로 사도 주민들은 근처의 큰 섬 낭도에 8천여 평 산비탈을 구입했다. 그 산비탈을 개간해서 밭곡식을 길러 먹었고 땔감을 베어다 땠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사도는 더 이상 어업을 하지 않게 됐다. 고깃배들이 아주 사라져버렸다. 1959년 9월, 추석날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사라’ 때문이었다. 이때 30여 척의 어선들이 전부 부서져 침몰하고 많은 사람들이 목숨을 빼앗겼다. 학교 옆에 있던 오래된 마을 숲도 완전히 사라져버렸다. 이후 많은 주민들이 바다가 무서워 섬을 떠나버렸고 섬은 한적해졌다. 섬에 남은 사람들도 더 이상 어선을 부릴 엄두를 내지 못했다. 트라우마는 섬 전체를 덮쳤다. 오랫동안 섬은 어선 없는 섬이었다. 그렇게 5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섬사람들은 그저 농사를 짓거나 물이 빠지면 갯가에 나가 미역, 톳 같은 해초류를 뜯어다 팔며 생계를 이어갔다. 지금은 조업을 겸하는 낚시 어선이 몇 척 생겼다. 


사도는 공룡의 섬으로 알려져 있다. 사도 해변은 중생대 공룡의 시대가 남긴 발자국들로 가득하다. 사도는 이런 연유로 2002년 1월에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되었다. 사도 입구 선착장에는 티아노사우루스 공룡 모형 2개가 육지 사람들은 반긴다. 


면적 0.36㎢, 해안선 길이 6,4km에 불과한 작은 섬 사도는 두 개의 무인도와 연결되어 있다. 중도와 시루섬(증도)이다. 사도와 중도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고 중도와 시루섬은 모래톱으로 연결되어 있다. 시루섬은 초입부터 거대한 바위 무더기들이 공룡처럼 무리지어 웅성거리는 듯하다. 시루섬 뒤편 해안 절벽은 장대하다. 놀라울 정도로 거대한 바위들이 해안을 장식하고 있다. 거북바위, 얼굴바위, 고래바위, 온갖 이야기와 전설들을 간직한 바위들. 압도적으로 아름답다.


공룡발자국 화석과 함께 사람들이 사도에 부쩍 관심을 갖게 된 또 하나의 이유는 바닷물이 갈라지는 자연 현상 때문이다. 정월이나 2월, 4·5월 보름 썰물 때면 사도와 인근 섬들 사이에 바닷길이 활짝 열린다. 사도에서는 한해에도 몇 번씩 ‘모세의 기적’ 같은 일이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난다. 특히 가장 넓은 바닷길이 열리는 때는 음력 2월 영등사리다. 이때는 사도 주변의 여러 섬들 7개가 하나로 연결된다. 사도를 중심으로 추도, 중도(간데섬), 장사도, 나끝, 연목, 증도(시루섬)까지 7개의 섬들이 ‘ㄷ자’ 모양으로 이어지는 신비를 연출한다. 물이 빠지면 사람들은 바다 사이로 난 길을 따라가며 갯것들을 주어 담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