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물도 등대길

백섬백길

8

4.2km

누구나 가보고 싶은 통영 섬 최고의 비경

소매물도 등대길

백섬백길

8

경상남도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

코스 소개

소매물도는 한국인이 첫번째로 가보고 싶은 섬이다. 소매물도 등대길은 이런 소매물도의 구석구석을 탐방하는 길이다. 항구에서 시작해 소매물도를 상징하는 등대섬, 망태봉의 관세역사관, 남매바위를 거쳐 다시 항구로 돌아오는 길이다. 소매물도 등대길을 따라가면 수많은 기암괴석과 총석단애 등 통영 섬 중에서도 최고의 비경을 만나게 된다.

코스세부정보

소매물도항( 0 km) 망태봉(관세역사관)( 0.6 km) 열목개( 0.6 km) 소매물도 등대( 0.4 km) 망태봉 갈림길( 1.2 km) 남매바위( 0.9 km) 소매물도항( 0.5 km)

교통

1

출발지

도착지

2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소매물도는 우리 나라 사람들이 가장 가보고 싶은 섬 1위로 꼽는 섬이다. 소매물도가 유명하게 된 것은 물이 빠지면 걸어서 건너갈 수 있는 등대섬때문이다. 소매물도 바로 옆에 있는 이 조그만 등대섬이 광고에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었다. 그래서 등대섬을 일명 쿠크다스 섬이라고도 부른다. 기암괴석의 풍경이 환상적이다.

옛날 소매물도의 어미 섬인 대매물도에 자식 없이 살아가는 부부가 있었다. 권씨였다도 하고 허씨였다고도 한다. 부부는 뒤늦게 아이를 얻었다. 남매 쌍둥이였다. 남매 쌍둥이는 명이 짧아 일찍 죽게 된다는 말들이 있었다. 부부는 딸을 소매물도에 버렸다. 남아선호가 낳은 비극이었다. 세월 따라 아들은 불쑥 자랐다. 어느 날 아들은 나무하러 산에 갔다가 소매물도에서 피어오르는 연기를 보았다. 부모는 아들에게 ‘소매물도는 무서운 용이 사는 곳이니 절대 가서는 안 된다’고 신신 당부했었다. 여느 아들들처럼 아들은 부모 말을 가볍게 여겼다. 금단의 과실일수록 유혹은 달콤하다. 열아홉의 봄날, 마침내 아들은 금기를 어기고 노를 저어 소매물도로 건너갔다. 거기서 물비린내 달큰한 처녀를 만났다. 첫눈에 반한 두 남녀는 정념을 못 이겨 서로 끌어안고 사랑을 나누었다. 그때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들고 비바람 천둥번개가 치면서 두 남녀는 바위로 변해 벼랑 아래로 굴러떨어지고 말았다. 그것이 저 전설 속의 남매 바위다.

망태봉 정상에는 ‘관세역사관’이 있다. 이 자리에 관세역사관이 있게 된 이유는 1970년대 설치된 ‘소매물도 감시소’ 때문이다. 감시초소는 야간에 화물선 등을 이용해 일본에서 들여온 밀수품을 남해안의 섬이나 해안으로 옮기던 속칭 ‘특공대 밀수’를 단속하기 위해 설치됐었다. ‘이즈하라 특공대’라 불리던 밀수단은 고속 밀수선으로 저녁에 일본에 갔다가 새벽에 밀수품을 들여왔다. 초소는 87건의 밀수선을 적발하는 실적을 냈지만 밀수 감시선이 투입되면서 폐쇄됐다. 더 오랜 옛날에는 해적을 감시하던 망대가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또 고향을 떠나 섬으로 이주한 사람들이 고향의 부모를 그리며 절을 하던 망배단이기도 하다. 섬의 애환이 깃든 장소다.

소매물도는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유명한 섬이다. 연간 60만 명에 달하는 관광객들로 인해 몸살을 앓는다. 면적 0.51㎢, 해안선 길이 3.8km에 불과한 작은 섬에 주말이나 피서철이면 하루 수천명씩 관광객이 몰려든다. 소매물도는 섬이 수용할 수 있는 적정한 탐방객 수를 초과한 지 이미 오래다. 그래서 소매물도는 성수기나 주말을 피하고 평일에 가는 것이 좋다.

1989년 소매물도의 36가구 원주민들은 서울의 개발업체인 ㈜남해레데코에 모든 땅을 팔아버렸다. 개발업체는 온갖 감언이설로 주민들의 땅을 헐값에 사들였다. 이후 단 한집만 계약금의 두 배를 위약금으로 물어주고 땅을 되찾았을 뿐 나머지는 모두 개발업체의 손으로 넘어갔다. 개발업체는 소매물도를 대규모 자연관광 단지로 개발하겠다는 명목으로 투자금을 모으려 했다. 당시 개발업체는 신문에 광고까지 내며 투자자를 모았다. 개발업체에서는 심지어 계약당사자인 섬 주민들이 죽을 때까지 살도록 해주겠다고 속여서 땅을 매입했다. 하지만 투자금 모집 광고에서 보듯 투자자만 모이면 주민들은 곧바로 쫓겨날 상황이었다. 그러나 개발업체는 부실경영으로 채권자인 다른 업자의 손에 넘어갔다. 결국 대부분의 주민들은 서둘러 섬을 떠나야 했다. 겨우 쫓겨나지 않고 섬에 남은 몇몇 주민들은 자기 땅을 팔고 그 땅에 ‘세 들어’ 사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갑자기 유명 관광지가 된 탓에 관광 수입이 커지자 주민들은 땅을 판 것을 땅을 치고 후회했지만 소용없는 일이었다. 이미 남의 손에 든 떡. 근래에 경매를 통해 섬 주민 한 사람이 많은 땅을 되찾았고 한동안 내던 집세도 더이상 내지 않지만 대다수 주민들은 여전히 자기 땅이 없다.

소매물도 등대길

백섬백길

8

4.2km

누구나 가보고 싶은 통영 섬 최고의 비경

코스 소개

소매물도는 한국인이 첫번째로 가보고 싶은 섬이다. 소매물도 등대길은 이런 소매물도의 구석구석을 탐방하는 길이다. 항구에서 시작해 소매물도를 상징하는 등대섬, 망태봉의 관세역사관, 남매바위를 거쳐 다시 항구로 돌아오는 길이다. 소매물도 등대길을 따라가면 수많은 기암괴석과 총석단애 등 통영 섬 중에서도 최고의 비경을 만나게 된다.

코스세부정보

소매물도항( 0 km) 망태봉(관세역사관)( 0.6 km) 열목개( 0.6 km) 소매물도 등대( 0.4 km) 망태봉 갈림길( 1.2 km) 남매바위( 0.9 km) 소매물도항( 0.5 km)

교통

1

출발지

도착지

2

출발지

도착지

A

출발지

도착지

소매물도는 우리 나라 사람들이 가장 가보고 싶은 섬 1위로 꼽는 섬이다. 소매물도가 유명하게 된 것은 물이 빠지면 걸어서 건너갈 수 있는 등대섬때문이다. 소매물도 바로 옆에 있는 이 조그만 등대섬이 광고에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었다. 그래서 등대섬을 일명 쿠크다스 섬이라고도 부른다. 기암괴석의 풍경이 환상적이다.

옛날 소매물도의 어미 섬인 대매물도에 자식 없이 살아가는 부부가 있었다. 권씨였다도 하고 허씨였다고도 한다. 부부는 뒤늦게 아이를 얻었다. 남매 쌍둥이였다. 남매 쌍둥이는 명이 짧아 일찍 죽게 된다는 말들이 있었다. 부부는 딸을 소매물도에 버렸다. 남아선호가 낳은 비극이었다. 세월 따라 아들은 불쑥 자랐다. 어느 날 아들은 나무하러 산에 갔다가 소매물도에서 피어오르는 연기를 보았다. 부모는 아들에게 ‘소매물도는 무서운 용이 사는 곳이니 절대 가서는 안 된다’고 신신 당부했었다. 여느 아들들처럼 아들은 부모 말을 가볍게 여겼다. 금단의 과실일수록 유혹은 달콤하다. 열아홉의 봄날, 마침내 아들은 금기를 어기고 노를 저어 소매물도로 건너갔다. 거기서 물비린내 달큰한 처녀를 만났다. 첫눈에 반한 두 남녀는 정념을 못 이겨 서로 끌어안고 사랑을 나누었다. 그때 갑자기 먹구름이 몰려들고 비바람 천둥번개가 치면서 두 남녀는 바위로 변해 벼랑 아래로 굴러떨어지고 말았다. 그것이 저 전설 속의 남매 바위다.

망태봉 정상에는 ‘관세역사관’이 있다. 이 자리에 관세역사관이 있게 된 이유는 1970년대 설치된 ‘소매물도 감시소’ 때문이다. 감시초소는 야간에 화물선 등을 이용해 일본에서 들여온 밀수품을 남해안의 섬이나 해안으로 옮기던 속칭 ‘특공대 밀수’를 단속하기 위해 설치됐었다. ‘이즈하라 특공대’라 불리던 밀수단은 고속 밀수선으로 저녁에 일본에 갔다가 새벽에 밀수품을 들여왔다. 초소는 87건의 밀수선을 적발하는 실적을 냈지만 밀수 감시선이 투입되면서 폐쇄됐다. 더 오랜 옛날에는 해적을 감시하던 망대가 있던 자리이기도 하다. 또 고향을 떠나 섬으로 이주한 사람들이 고향의 부모를 그리며 절을 하던 망배단이기도 하다. 섬의 애환이 깃든 장소다.

소매물도는 설명이 필요 없을 정도로 유명한 섬이다. 연간 60만 명에 달하는 관광객들로 인해 몸살을 앓는다. 면적 0.51㎢, 해안선 길이 3.8km에 불과한 작은 섬에 주말이나 피서철이면 하루 수천명씩 관광객이 몰려든다. 소매물도는 섬이 수용할 수 있는 적정한 탐방객 수를 초과한 지 이미 오래다. 그래서 소매물도는 성수기나 주말을 피하고 평일에 가는 것이 좋다.

1989년 소매물도의 36가구 원주민들은 서울의 개발업체인 ㈜남해레데코에 모든 땅을 팔아버렸다. 개발업체는 온갖 감언이설로 주민들의 땅을 헐값에 사들였다. 이후 단 한집만 계약금의 두 배를 위약금으로 물어주고 땅을 되찾았을 뿐 나머지는 모두 개발업체의 손으로 넘어갔다. 개발업체는 소매물도를 대규모 자연관광 단지로 개발하겠다는 명목으로 투자금을 모으려 했다. 당시 개발업체는 신문에 광고까지 내며 투자자를 모았다. 개발업체에서는 심지어 계약당사자인 섬 주민들이 죽을 때까지 살도록 해주겠다고 속여서 땅을 매입했다. 하지만 투자금 모집 광고에서 보듯 투자자만 모이면 주민들은 곧바로 쫓겨날 상황이었다. 그러나 개발업체는 부실경영으로 채권자인 다른 업자의 손에 넘어갔다. 결국 대부분의 주민들은 서둘러 섬을 떠나야 했다. 겨우 쫓겨나지 않고 섬에 남은 몇몇 주민들은 자기 땅을 팔고 그 땅에 ‘세 들어’ 사는 신세가 되고 말았다. 갑자기 유명 관광지가 된 탓에 관광 수입이 커지자 주민들은 땅을 판 것을 땅을 치고 후회했지만 소용없는 일이었다. 이미 남의 손에 든 떡. 근래에 경매를 통해 섬 주민 한 사람이 많은 땅을 되찾았고 한동안 내던 집세도 더이상 내지 않지만 대다수 주민들은 여전히 자기 땅이 없다.